[LINC3.0사업단]알쓸쳇(Chat)잡 (알아두면 쓸데 있는 쳇 gpt 잡학사전) 교육 안내
◦교육목적 : 쳇GPT가 촉발시킨 생성AI 트랜드를 이해하고, 생성AI로 변화할 산업 및 취업 환경의 변화에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토의하며, 나아가 쳇GPT 실습을 통해 생성AI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 양성
◦수강생 수 : 24명 내외 (재학중인 학부생 및 대학원생 대상으로 선착순 모집 마감)
◦신청방법 : K-Star Track을 통한 신청 (https://k-startrack.kookmin.ac.kr/)
◦교육 일정 :8월 10일 (목)10:00~17:00/ 8월 11일(금)13:00~17:00
-1,2일차 교육 전체 참석가능자에 한하여 모집
-1일차 중식 제공 예정
◦교육이수시 LINC 3.0사업단장 명의 수료증 발급 예정
◦교육 방법 : 교육장 대면교육, 쳇GPT 실습, 팀별 프로젝트
◦교육 내용
- 생성AI 기술 기반의 정의부터 산업 및 취업 환경에 변화에 대한 이해 공유
- 쳇GPT 등 생성AI 기술이 촉발시킬 미래 사회에 대한 토의
- 쳇GPT 실습을 통한 생성AI 활용에 대한 구현 프로젝트
◦강사:
1. 유호석 산업정책연구실장
-現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정책연구실장/책임연구원(기술정책학 박사)
-前 삼성SDS 정보전략/기술기획 담당 등
2. 김도균 이사
-現 Micorsoft MVP, 공인 Azure 트레이너
-現 ㈜시네틱스 기술고문, ㈜늘품플러스 기술이사
-前 KT/KTDS 클라우드 아키텍처 등
3.하재빈 선임연구원
-現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(비즈니스애널리틱스 박사)
-前 이민정책연구원 공공정보 및 데이터 담당 등
4.봉강호 선임연구원(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, 기술경영 박사)
-現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(기술경영학 박사)
-現 (사)한국과학기술스케일업학회 정책기획이사
-前 강남대학교 글로벌경영학부 강사 등
◦일정별 교육내용
| 
			 구분  | 
			
			 시간  | 
			
			 교육 주제  | 
			
			 교육 내용  | 
			
			 실습  | 
			
			 강사  | 
		
| 
			 
  | 
			
			 
  | 
			
			 
  | 
			
			 
  | 
			
			 
  | 
			
			 
  | 
		
| 
			 8/10  | 
			
			 10시~12시  | 
			
			 AI를 알아야 하는 이유  | 
			
			 ·AI 개요 ·AI가 우리가 사는 세상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 ·AI의 기회와 위협(활용 사례)  | 
			
			 -  | 
			
			 봉강호  | 
		
| 
			 13시~15시  | 
			
			 생성형 AI과 커리어  | 
			
			 ·생성형 AI가 우리 일자리에 미칠 영향 ·기업의 생성형 AI 도입(활용 사례) ※ 강의 후 수강생 간 생성형 AI 관련 토론 진행  | 
			
			 -  | 
			
			 하재빈  | 
		|
| 
			 15시~17시  | 
			
			 누구나 할 수 있는 Chat GPT 활용법  | 
			
			 ·비개발자가 Chat GPT를 활용하는 방법 학습 ·Chat GPT 기반 정보 검색 실습 ※ 별도의 코딩 없이 데이터 검색 및 활용 방법  | 
			
			 Chat GPT   | 
			
			 김도균  | 
		|
| 
			 8/11  | 
			
			 13시~15시  | 
			
			 생성AI가 촉발할 SW생산방식의 변화  | 
			
			 ·SW Development Lifecycle의 과거와 현재 ·SW Delivery 가속 도구로써 생성AI ·AI가 만드는 SW 2.0 ·AI 활용의 고려사항  | 
			
			 
  | 
			
			 유호석  | 
		
| 
			 15시~17시  | 
			
			 개발자의 Chat GPT를 활용법  | 
			
			 ·Chat GPT 기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습 ※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초급 수준으로 진행 예정  | 
			
			 Chat GPT  | 
			
			 김도균  | 
		
| [LINC3.0사업단]알쓸쳇(Chat)잡 (알아두면 쓸데 있는 쳇 gpt 잡학사전) 교육 안내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 작성자 | 도윤정 | 작성일 | 23.07.31 | 조회수 | 20064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첨부파일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 
										 ◦교육목적 : 쳇GPT가 촉발시킨 생성AI 트랜드를 이해하고, 생성AI로 변화할 산업 및 취업 환경의 변화에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토의하며, 나아가 쳇GPT 실습을 통해 생성AI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 양성  ◦수강생 수 : 24명 내외 (재학중인 학부생 및 대학원생 대상으로 선착순 모집 마감)  ◦신청방법 : K-Star Track을 통한 신청 (https://k-startrack.kookmin.ac.kr/)  ◦교육 일정 :8월 10일 (목)10:00~17:00/ 8월 11일(금)13:00~17:00 -1,2일차 교육 전체 참석가능자에 한하여 모집 -1일차 중식 제공 예정  ◦교육이수시 LINC 3.0사업단장 명의 수료증 발급 예정  ◦교육 방법 : 교육장 대면교육, 쳇GPT 실습, 팀별 프로젝트  ◦교육 내용 - 생성AI 기술 기반의 정의부터 산업 및 취업 환경에 변화에 대한 이해 공유 - 쳇GPT 등 생성AI 기술이 촉발시킬 미래 사회에 대한 토의 - 쳇GPT 실습을 통한 생성AI 활용에 대한 구현 프로젝트 
 ◦강사: 1. 유호석 산업정책연구실장 -現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정책연구실장/책임연구원(기술정책학 박사) -前 삼성SDS 정보전략/기술기획 담당 등  2. 김도균 이사 -現 Micorsoft MVP, 공인 Azure 트레이너 -現 ㈜시네틱스 기술고문, ㈜늘품플러스 기술이사 -前 KT/KTDS 클라우드 아키텍처 등 
 3.하재빈 선임연구원 -現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(비즈니스애널리틱스 박사) -前 이민정책연구원 공공정보 및 데이터 담당 등  4.봉강호 선임연구원(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, 기술경영 박사) -現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(기술경영학 박사) -現 (사)한국과학기술스케일업학회 정책기획이사 -前 강남대학교 글로벌경영학부 강사 등 
 
  ◦일정별 교육내용 
    | 
			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